유물 이야기

한양대학교박물관을 소개합니다.
교과서 더하기(+)_세번째 통일신라의 대외교류
한양대박물관 조회 1,309 댓글 0 2020-11-16

KakaoTalk_20201104_103524598_01.jpg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박물관 교과서 더하기(+)’입니다.

 

오늘은 통일신라의 대외교류와 연관한 유물과 유적을 살펴보려 합니다.

 

 

관련된 사회과 교육과정(개정 2018.7.27.) 한국사역사의 성취기준을 먼저 확인해 볼까요?

 

  

 

[10한사01-01] 고대 국가의 성립·발전 과정을 파악하고, 지배 체제의 성격을 이해한다.

 

[908-03] 남북국 시기 문화 내용과 대외 교류 양상을 이해한다.

 

 

 

 

세 번째 유물이야기의 주인공을 소개합니다!

 

KakaoTalk_20201104_103524598_05.jpg
 

이번에 살펴볼 유물들은 화성 당성에서 출토된 형요 백자 완 청요 백자 완편입니다.

화성 당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1998년부터 한양대학교박물관이 처음 진행했어요. 특히 2016년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에서 진행한 발굴조사에서 백제양식의 토기와 중국산 백자가 출토되어 당성 축조 이전의 집단과 당나라와의 대외교류를 알 수 있었지요.

 

당성 발굴 조사는 총 5차례 진행되었고, 특히 201711월부터 20184월까지 진행된 5차 발굴조사를 통해 당성이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오랜 기간 동안 활용된 성곽유적임을 확인했답니다.

 

, 지금부터는 당성이 품고 있는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요?

당성지역은 백제가 처음 차지하여 '당항성黨項城'으로 불리게 되었어요. 이후에는 신라가 점유하면서, 당과 직접 교역할 수 있는 항구인 '당은포唐恩浦'를 차지하여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답니다.

 

교과서 속에서 당성(당항성)은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통일신라의 대외교류를 중심으로 찾아볼까요?

 

KakaoTalk_20201104_103524598_03.jpg

 

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8세기 들어 신라는 통일 과정에서 악화되었던 당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다시 당과 교류를 했어요. (그 계기는 무엇일까요? 쏙닥쏙닥 이야기를 통해 그 궁금증을 해결해보세요.)

 

신라는 당성을 중심으로 금은 세공품과 인삼 등을 당에 수출하였고, 당에서 비단, 서적, 문구류 등을 수입했답니다. 이처럼 당항성은 신라가 황해를 통해 중국과 교류했던 중요한 출입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어요.

 

KakaoTalk_20201104_103524598_04.jpg
 

 

당과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산둥 반도와 창장강 유역에는 신라인들의 거주지인 신라방이 생기고, 숙박 시설인 신라관이 들어섰어요. 또 신라인들은 이곳에 신라원이라는 절을 지었으며 신라인들을 감독하는 관청인 신라소도 설치했어요.

이때 신라와 당의 대외교류 양상을 보여주는 증표가 오늘 살펴볼 유물이랍니다.

그러면 유물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볼까요?

 

 KakaoTalk_20201104_103524598_07.jpg 

 

당나라 시기 남쪽에서는 청자를, 북쪽에서는 백자를 위주로 생산하는 지역적 특징이 있었어요. 당시 최고의 자기는 남방 월주의 가마터에서 생산된 청자(월요청자越窯靑磁) 북방 형주의 가마터에서 생산된 백자(형요백자邢窯白磁) 였어요.

 

통일신라에서는 8세기 후반부터 이러한 기종의 완이 집중적으로 수입되는데, 이는 당의 차 문화와 연관이 깊어요. 왕실과 불교 사찰에서는 떡 모양의 차를 갈아서 주전자에 넣어 우린 다음 완에 따라서 마시는 방식이 유행했기 때문이지요.

 

그렇다면, 이러한 당대의 완은 당성 이외에 한반도의 다른 지역에도 발견될까요?

 

우리 같이 당과 신라와의 교류 양상을 더 찾아볼까요?

 

KakaoTalk_20201104_103524598_08.jpg 

 

 

위의 두 유물은 전라북도 익산에서 출토된 중국 당대의 백자, 청자 완형 완이에요.

이처럼 당항성에서 시작된 중국과의 인적, 물적 교류의 영향이 한반도 곳곳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답니다.

 

오늘 한양대학교박물관 교과서 더하기(+)에서 다룬 이야기는 통일신라의 대외교류였어요.

교과서 속 이야기를 박물관에 소장된 형요 백자 완월요 청자 완편을 중심으로 살펴봤지요.

 

 

끝으로 아래의 생각해볼 질문들에 스스로 답하며, 마무리 해보세요!

 

 

KakaoTalk_20201104_103524598_09.jpg




 

 

 더 공부하고 싶다면?  보충자료 일러스트.jpg

  

강봉룡,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2: 통일신라, 발해편,가람기획, 2016.

 

 

[참고문헌]

1. 단행본

한양대학교박물관, 한양대학교박물관 상설도록, 2020.

한양대학교박물관, 당성 5차 발굴조사 보고서-, 2020.

 

2. 교과서

정재정 외 10중학교 역사①』지학사, 2014.

도면회 외 8고등학교 한국사비상교육,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