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이야기
한양대학교박물관을 소개합니다.
-
포토교과서 더하기(+)_세번째 통일신라의 대외교류
2020-11-16 | View 508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박물관 ‘교과서 더하기(+)’입니다. 오늘은 ‘통일신라의 대외교류’와 연관한 유물과 유적을 살펴보려 합니다. 관련된 사회과 교육과정(개정 2018.7.27.) 내 『한국사』와 『역사』의 성취기준을 먼저 확인해 볼까요? [10한사01-01] 고대 국가의 성립·발전 과정을 파악하고, 지배 체제의 성격을 이해한다. [9역08-03] 남북국 시기 문화 내용과 대외 교류 양상을 이해한다. 세 번째 유물이야기의 주인공을 소개합니다!
이번에 살펴볼 유물들은 화성 당성에서 출토된 ‘형요 백자 완’과 ‘청요 백자 완편’입니다. 화성 당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1998년부터 한양대학교박물관이 처음 진행했어요. 특히 2016년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에서 진행한 발굴조사에서 백제양식의 토기와 중국산 백자가 출토되어 당성 축조 이전의 집단과 당나라와의 대외교류를 알 수 있었지요. 당성 발굴 조사는 총 5차례 진행되었고, 특히 ...
-
포토슬기로운 유물 탐구생활 No.3 풍속화 속에서 찾아보는 의생활도구 이야기
2020-10-13 | View 625
풍속화 속에서 찾아보는 의생활도구 이야기
오늘은 지난 1편에서 만나본 김홍도의 작품, 경직풍속도를 바탕으로 우리 의생활도구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요즘 코로나 19로 따분한 생활에 옛 그림과 유물을 보며, 잠시나마 유익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풍속화 속 길쌈도구 만나보기 이 그림은 한양대학교박물관 소장품 김홍도의 작품인 경직풍속도 중 일부입니다. 경직도는 본래 중국에서 임금이 생업에 종사하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피라는 의미가 담긴 궁중회화로, 우리나라에서 전래되어 조선 후기 민간에서도 유행했습니다. 경직도에는 농사짓고 비단 짜는 일에 관련된 다양한 장면이 담겨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길쌈도구를 이용해 옷을 만드는 여성들의 모습도 보입니다.
어떻게 옷감을 만들까? 무명옷감을 만드는 과정이 담긴 그림으로 도구 사용법을 함께 살펴봅니다. 수확한 목...
-
포토교과서 더하기(+)_두번째 고구려의 남진정책
2020-07-23 | View 611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박물관 ‘교과서 더하기(+)’입니다. 오늘은 고구려의 남진정책과 연관한 유물과 유적을 살펴보려 합니다. 우선! 이와 관련된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한국사』와 『역사』의 성취기준을 먼저 확인해볼게요. [10한사02-02] 삼국 간의 경쟁과 가야 세력의 쇠퇴 및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과정을 살펴보고, 삼국 통일의 역사적 의미를 토론한다. [9역02-03] 삼국의 경쟁 과정을 각 시기별 영역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 한강 유역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추론한다. 먼저, 이번 유물이야기의 주인공을 소개합니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항아리와 다른 점이 느껴지나요? 어떤 부분이 특징적일까요? 잠시 동안 그 특징들을 생각해 볼까요? 위 유물들은 파주 주월리에서 출토된 두귀달린 항아리와 네귀달린 항아리에요. 한양대학교박물관은 1996년 7월 폭우와 홍수로 인해 임진강이 범람...
-
포토슬기로운 유물 탐구생활 No.2 추억의 유물, 라디오
2020-06-29 | View 793
추억의 유물, 라디오
라디오란 소리를 통해 전달하는 미디어이자, 전파 신호를 소리의 신호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기입니다. 1880년대 중반 이탈리아의 마르코니에 의해 발명되었던 라디오 기계는 전파 수신 출력 신호와 제어기술의 핵심부품에 따라 진공관, 트랜지스터, 집적회로(IC),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해왔습니다. 한양대학교박물관에서는 다양한 라디오 기기들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라디오 기기들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작은 라디오의 시초, 트랜지스터 라디오 1954년 미국에서 최초의 ‘트랜지스터 라디오’가 출시된 이후, 이듬해 일본 소니사에서 트랜지스터 라디오를 출시했습니다. 이전의 진공관 라디오와 달리 트랜지스터 라디오는 작은 부피에 휴대가 용이해서 당시 혁신적이었습니다. 초기에 잡음이 많고 증폭이 작았으나 점차 개량되면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라디오였습니다. 트...
-
포토교과서 더하기(+)_첫번째 나제동맹의 파탄과 신라의 한강 점령
2020-05-08 | View 998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박물관 ‘교과서 더하기(+)’입니다. 오늘은 나제동맹의 파탄과 신라의 한강 점령과 연관한 유물과 유적을 살펴보려 합니다. 우선! 이와 관련된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한국사』와 『역사』의 성취기준을 먼저 확인해볼게요. [10한사02-02] 삼국 간의 경쟁과 가야 세력의 쇠퇴 및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과정을 살펴보고, 삼국 통일의 역사적 의미를 토론한다. [9역02-03] 삼국의 경쟁 과정을 각 시기별 영역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 한강 유역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추론한다. 자, 그렇다면 함께 출발할까요? 이번 시간을 통해 여러분들은 ‘역사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 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거에요! 오늘의 유물을 소개합니다! 어떤 용도로 사용된 유물일까요? 한번 상상해보세요. 해당 유물들은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이성산성에서 발견된 흙으로 구운 말이랍니다. 한양대학교박물관에서는 1986년...
-
포토슬기로운 유물 탐구생활 No.1 그림 읽어드립니다.
2020-04-24 | View 1,115
그림 읽어드립니다 : 김홍도, <경직풍속도> 편 봄이 오면 얼어붙은 땅은 녹아 밭을 갈고 씨앗을 뿌리며 한 해 농사 준비로 분주해집니다. 봄을 맞아 이번에 소개해드릴 소장유물은 한양대학교 박물관의 <경직풍속도(耕織風俗圖)>입니다. 모두 8폭의 병풍에 주된 내용은 농사짓는 일(耕)과 비단 짜는 일(織)에 관련된 여러 장면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외에도 집을 짓는 모습, 방아 찧는 모습 등이 화폭에 담겨져 있습니다. 경직도는 본래 중국에서 임금이 생업에 종사하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헤아려 정치에 힘쓰라는 의미가 담겨진 궁중회화였습니다. 이러한 풍속도가 우리나라에도 전래되어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서 유행하게 됩니다. 특히 조선시대 후기에 유행하던 경직도에서는 타작하는 모습이 추가되었으며, 당시 유행하던 풍속화와 더불어 풍속장면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모습은 중국의 경직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자적인 특징이었습니다. 박물관의 <...